척추 질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 추간판탈출증
■ 퇴행성 척추 특만증
■ 척추관 협착층
■ 척추전방위층
■ 결핵성 척추염
흔히 허리디스크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질환입니다 .
제대로된 명칭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추간판이라는 것은 척추에있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구조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추간판 이 손상되거나 압박에의해 돌출되어 신경이 눌리게 되는데 이 현상을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원인은 잘못된 습관, 운동부족, 과한 외부에 의한
충격에도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증상은대게 허리통증, 골반 및 그아래까지 나오는 방사통과 저림증상, 감각이 둔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에 관해서는 되도록이면 빠르게 진행하는것이 좋으며 요즘에는
주사 치료나 시술로인한 치료로도 있으니 걱정하지마시고 빠르게 전문의를 찾아
진단받아서 진료받는것을 권장합니다.
두번째로 척추 측만증 입니다. 척추측만증은 기능성과 구조성이 있습니다.
기능성 척추측만증은 바른자세의 유지와 운동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구조성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변형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단 발생하기 시작하면 대부분이 악화 된다고 봐야 하며, 원인이 따로 없는 특발성
이라는 특성이 대부분입니다.
선청성, 신경근육성, 신경섬유종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유전으로 생기는
질병은 아니지만 원인이 되는 신경섬유종과 신경근육성 측만증이 유전이 됩니다.
치료진행은 우선 측만증의 각도를 보고 정하게 됩니다. 20도가 넘게되면 보조기를
착용하며 40도가 넘으면 수술을 하게 됩니다. 성장기가 지났을 경우엔 보조기 착용을
안하며, 각도가 50도 일때 수술을 진행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혀리뼈 속에 신경이 지나가는 신경길이 있는데,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추간공이 좁아지게되어 허리의 통증을 발생시키거나 복합적인 신경질병을
일으키기도 하는 증상입니다.
협착증의 원인은 척추 관절의 인대가 변화하여 두꺼워지고 척추의 신경을 조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의 혈액순환부족이 원인입니다.
선천적인 원인으로는 요추관의 크기가 작을경우 입니다. 보통 35세가 넘으면 뼈와 인대의
변화가 겹쳐져 증상이 발현되기도 합니다.
퇴행성원인 으로는 척추 퇴행성 골관절염이 생겨, 허리관절이 커지고 인대도 두꺼워지면서
가시같은 뼈가 자라 신경길을 좁게 하는것이 원인 입니다.
걷거나, 일을하면 피가 안통하는 것과 같이 저리고 아프지만, 앉거나 쉬면 통증이 완화
되어 다시 걸을수 있는 것이 대체적인 증상입니다.
치료는 장시간에 걸쳐 물리치료나 자세교정, 운동, 약물로 치료하는 방법이 있으며, 보통
호전이 가능한 질병입니다. 경우가 심할 경우는 수술을 해야 할수도 있습니다.
척추전방위증은 척추 윗뼈부분이 아래뼈부분보다 밀려나온상태 입니다. 원인은 척추의
발육부족이나 척추간에 연결고리가 되는 뼈의 골절, 노화에의한근육의 퇴행이나 외부로
부터의 충격이 있습니다.
증상은 허리통증 및 하반신 저림이 있으며 뼈가 밀려나가면서 서있는 자세가 이상해 질
수 도 있습니다. 보행에도 장애가 생기게 되는데 오래걷게되면 다리가 저리고 종아리가
터질듯한 느낌이 올수가 있습니다.
만일 다리통증및 요통이 별로없고 불편한 정도라면 보존적인 치료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보조기나 진통제로 통증을 줄이며 주사 및 시술로 인해 해결할수있는방법이 있습니다. 운동
과 스트레칭으로 인한 꾸준한 관리도 중요합니다.
결핵군에 의하여 발생하며 발생위치는 척추 중앙부분에서 생깁니다.
처음에는 적은부분의 골의형태가 변형되고 약해진 척추는 압박에 의해 더욱변형되며,
식욕,체중,의욕등의 감소와 피로감 및 미열 등의 증상들도 보이곤 합니다.
병소에서 발견된 농양은 초기엔 척추속에만 존재한다. 하지만 척추가 파괴되면 전방과
후방으로 퍼지게 되는데 전방으로 밀려난 농양은 전종인대 쪽으로 고여 척추 주위에
농양을 형성하고 근막,신경, 혈관을 따라 흘러나와 배농성 누공을 형성할수 있고, 후방
으로 밀려나온 농양은 척수를 공급하는 동맥을 차단,침범하여 신경에 관련된 질병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 수술 하지말라고요? 왜요? (0) | 2020.12.14 |
---|---|
허리 디스크? 운동으로 예방! 회복 하자! (0) | 2020.12.14 |
올바른 앉는자세 알고 앉아야 해! (0) | 2020.12.04 |
댓글 영역